mobile background


   





Invisible Factories – Factory Run Project – 



About this project 



The entire expanse of the factory complex is encompassed by the body as it traverses the area. Heartbeats quicken, and the body's warmth connects with the running bones, evoking the memories of the individuals who were once employed at this site. This endeavor originated near Seoul at Sosa Samyang Machinery and Chonbang Fabric Factory in Gwangju. In these locations, thousands of individuals devoted over 12 hours per day to their work. This ongoing project seeks out former factory sites to ignite a sensation akin to an 'individual time machine,' essentially recreating the euphoric experiences of those who ran industrial operations.


Factories have dotted the globe, with Japanese factories establishing themselves on the fringes of Seoul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Seoul expanded, these factories relocated to more rural areas or even overseas. While the lives of factory workers have undergone significant transformations over the decades, the factory sites remain intricate spaces, repurposed for various uses such as residential buildings, shopping centers, and parking lots.


Certain narratives remain subdued in Korea, despite the passage of time into different eras. The identities of these factories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remain shrouded in obscurity. Likewise, the experiences of the laborers within these factories linger in the past. Consider, for instance, the 'Haebang Space Time' (approximately 1945 to 1950), when socialist factions clashed vehemently with right-wing liberals within the factory zones of Incheon and Yeongdeongpo. Their ordinary yet triumphant days should never fade from memory. I aspire to recollect the youthful enthusiasm that once gleamed in their eyes, as well as the undeniable impact of their monthly wages on their families. Through my running, I aim to illuminate their everyday victories within this area, channeling their repetitive and mechanical bodily encounters into a beacon of remembrance.




Kyungin Industry Belt



My father settled in the area between Bucheon and Incheon cities long after he had escaped from North Korea's Hwanghae province. Much of my childhood unfolded along the route connecting Incheon and Seoul, commonly known as the 'Kyungin' Industry Belt. ('Kyung' stands for Seoul, and 'In' represents Incheon.) This area runs alongside subway line 1. Fueled by my aspiration for industrial exploration, I envision a path extending from Incheon through Yeongdeongpo and Yongsan, and reaching just beyond Dongdaemun (East Gate).


The Morinaga factory and its milk farm in Guro-ri, the captivating Yongsan confectionery factories by the Mancho stream, and a sprawling fabric manufacturing facility in the Dongdaemun (East Gate) vicinity, all hold a place in this narrative, even though they are hardly visible today, with only a few traces remaining. This industrial belt, akin to an unseen vein beneath the city's skin, has been largely forgotten. This project stands poised, awaiting a voice to uncover the enigma of 'Kyungin' for all of us.





Yeongdeung-po Route



Yeongdeung-po stands as one of the most compelling attractions within the expansive Kyungin area, a place where countless factory workers not only resided but also fervently struggled for their livelihoods. As a result, unearthing significant histories and narratives in this region proves to be a rather achievable endeavor. Although the visible presence of labor and its associated camaraderie might not be as prominent in the contemporary landscape, Yeongdeung-po has evolved into a realm characterized by modern architecture and captivating spectacles. This transformation traces back to the past, particularly the Yeongdeung-po rebellion of around 1945, chronicled in two distinct journals. The path embarked upon in this endeavor traces the footsteps of those who partook in these historical events.


The journey for runners commences at the renowned CJ factory, a structure masterminded by the unsung architect Kim Jae-chul. With the resounding impact of this monumental establishment propelling them forward, runners navigate through narrow, dimly lit passageways lined with metal workshops. Upon arriving at Mullae station, a location that once housed two expansive fabric factories, runners continue their expedition along a path that skirts an unseen railway, passing by a handful of inconspicuous factories such as a train compartment manufacturing facility and leather production companies. As the route progresses, the distinguished Kyungbang and Daesun Mill factory emerges prominently before the participants' eyes, shortly before they reach their ultimate destination: two (invisible) beer factories. Culminating at the Yeongdeong-po park, formerly the site of the Kirin beer factory, this 7km nocturnal journey draws to a close.




Electronic music and factory night



The potency of the night holds its sway exclusively over those who remain awake during its hours. Pupils expand beyond their daytime dimensions, and amid the stillness of the night, machines in ceaseless motion emit a symphony that transforms humans into mechanized beings. This nocturnal workforce has swelled to substantial proportions, mirroring the enlargement of mechanized individuals. Within spaces reminiscent of places of worship, the factories, the amalgamation of machine clamor and human activity resembles an alchemical transformation, morphing into the essence of Techno music.


In the moments just prior to daybreak, weariness melds individuals into a collective, allowing them to accomplish feats that would be beyond their grasp as solitary entities. Our peripheral senses instinctively sync with the rhythm. The act of running through factories becomes a manifestation of electronic music.




見えない工場-ファクトリー・ラン・プロジェクト-



走る。 身体でかつての工場の規模を感じ、波打つ脈拍でその当時の労働者の若さを賛えるためのプロジェクトだ。

まだその姿を留める―まもなく住宅地として開発される予定の―素砂 ‘三養重機’と‘光州全紡’を2020年に現地調査した経験が(このプロジェクトの)出発点になった。既に失われた都市近郊型大規模工場跡地を訪ねては、今も走りつづけている。


工場は移動する。日本から韓国に渡ってきた工場は、当初は都市近郊に位置し、時を経て都市からより遠くへ、あるいはさらに海を超えて他国へと移動していく。なくなった工場の跡地がマンションに、ショッピングモールに、学校や駐車場にと用途が変わる時、そこで仕事をしていた職工たちも共に変化していった。

 

過去を恥ずかしく感じるのか、まだ語られていないことが多いようだ。戦前からあった工場の歴史が隠される。工場で働いた時間を誇らない。信じていた理念に基づいて戦った、その時代はいかなるものだったのだろう。隠さないといけないその時間が主題、言葉として取り出しにくい主題だ。そして、共に忘れられていく労働者たちの時間。輝く目で一生懸命に働き、家族を養い、産業の担い手として今日の安定を作り上げた過去の、その時間-工場で働いていた人々の輝いていた時間を記憶する。


京仁産業地帯


黄海道(ファンヘド・現在の北朝鮮の一部)から仁川(インチョン)に避難してきた父は、富川(プチョン)と仁川(インチョン)の間に居を定めた。そして幼い頃の私にとって、京仁路は国鉄1号線と共に、郊外からソウルに行く象徴的な道だった。この道に沿って走ることができるコースを考えてみた。 仁川(インチョン)から永登浦(ヨンドンポ)、龍山(ヨンサン)そして東大門(トンデムン)まで続く京仁産業ベルトは、道路と鉄道、そして布についての多彩な物語を持つ。九老(クロ)にあった製菓工場と敷設されていた牧場、今はソウルの中心だが当時は郊外だった新設洞(シンソルトン)の広大な紡織工場、龍山(ヨンサン)という地区は、またなんと興味深いところだろう。製菓工場が集まっていた頃の蔓草川(マンチョチョン)沿いの風景を想い描いてみよう。以前にましてより一層壮観な風景になった仁川(インチョン)の今の工場地帯と、まだまともに把握されていない富川(プチョン)近辺の現在についても語ってくれる人を待ちたい。 




永登浦(ヨンドンポ)コース


首都圏で永登浦(ヨンドンポ)は指折りの魅力的な地域だ。数万の労働者が絶えず行き交い、若さが集っていた場所だけに興味深い事件がしばしば記録されている。厳しい労働の現場だったが固い連帯があった場所でもあり、今は劇的な変化のスペクタクルを見ることができる。 熱気に満ちた解放空間(終戦時の日本の植民地からの解放-南北分断までの数年)時代を追憶した記録-対立する路線に立つ人々のそれぞれ違った視点からの永登浦(ヨンドンポ)での事件の記録を読んだ幾つかの夜に、このランニング・ルートを想い描いて走ってみた。

スタートは九老(クロ)駅前の第一製糖工場だ。 ‘金在哲’というあまり知られていない建築家の足跡を残す建物が持つ、圧倒的な崇高さの前で力を充電したランナーは工場周辺の工具を扱う商店街を力強く走りぬけていく。文来(ムンレ)駅周辺の数千人が共に働いていた工場跡をかすめたら、見えない鉄道引込線に沿って、現在の永新路(ヨンシンノ)沿いに散在するいくつかの工場跡を巡って戻ってくる。京城紡織があったタイムスクエアと大仙(デソン)製粉の間を通過すれば、線路を越える高架橋を渡ることができる。一時期雄壮さを誇ったビール工場の跡地に堂々と建つプルジオ・マンションを過ぎ、線路沿いの狭い道を走っていくと、ついに目標地点である昭和麒麟ビール工場、いや、永登浦(ヨンドンポ)公園に辿り着き、約7kmのナイト・ランは終わる。



電子音楽と夜の工場


夜中に目覚めている人は夜の力を理解する。瞳孔は昼間より大きくなり、眠らない職場の光は規則的な機械音に合わせて、人さえも機械化される。夜に仕事をする人々が爆発的に増えて以来ずっと人間が機械化されることについての議論が続けられてきた。宗教的にも見える巨大な職場のスペース感覚と機械の金属音は夜の力の下でテクノミュージックを奏で始める。

夜明け前、人々は疲れきって会話も減り、それでもなおも続く夜の時間。個人ができない規模の仕事を、毎日人々は皆で、明日へと成し遂げていく。拡張された身体と絶えまなく刻まれ続けるビート。ファクトリー・ランは電子音楽とこの上なくマッチすると言わざるをえないだろう。


보이지 않는 공장  -공장달리기 프로젝트-



뛴다. 몸으로 공장의 규모를 느낀다. 뛰는 맥박으로 그 시절 노동자의 젊음을 기리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아직 그 모습을 갖추고 있는 -그러나 곧 주택지로 개발될- 소사 삼양중기와 광주 전방(全紡)을 2020년에 답사한 경험이 출발점이 되었다. 지금은 없어진 도시 근교 대규모 공장 부지를 찾아가 뛰고 있다.

공장은 이동한다. 일본에서 한국으로 넘어온 공장들은 도시 근교에 자리잡았다가 더욱 먼 지방으로, 혹은 머나먼 다른 나라로 이동한다. 없어진 공장 부지가 아파트로, 쇼핑몰로, 학교나 주차장으로 쓰임이 변할 때 여기서 일하던 직공들 또한 함께 변해갔다.

감추고 꺼내지 않는 부끄러움이 아직도 많은 듯 하다. 전쟁 전부터 있었던 공장은 과거를 감춘다. 공장에서 일하던 시간을 자랑하지 않는다. 믿고 있던 이념을 토대로 싸웠던 그 시절은 어떤가. 그 시간들이 감춰야 할, 아니면 말로 꺼내기 어려운 주제이다. 그래서 같이 잊혀지는 노동자의 시간들. 빛나는 눈으로 열심히 일하고, 가족을 부양하고, 산업 역군으로 오늘의 안정을 이뤄낸 과거,공장에서 일 했던 빛나는 시간을 기억한다


.

  





경인 산업지대


황해도에서 인천으로 피난 나왔던 아버지는 부천과 인천 사이에 자리잡았다. 어린 시절 경인로는 그래서, 국철 1호선과 함께 변두리에서 서울로 가는 상징적 길이었다. 이 길을 따라 함께 뛸 수 있는 코스를 상상했다. 인천에서 영등포와 용산 그리고 동대문까지 이어지는 경인 산업벨트는 도로와 철도, 그리고 천을 따라 다채로운 이야기가 펼쳐진다. 구로에 있던 제과 공장과 거기 딸린 목장, 이제는 중심지에 속하는 당시 변두리 신설동에 있던 광대한 방직 공장, 용산은 또 얼마나 흥미로운가. 제과 공장들이 모여있던 만초천 변 풍경을 그려본다. 예전보다 더욱 장엄해진 인천의 지금 공장들과 아직 제대로 파악 하지 못한 부천 곳곳의 오늘을 말해줄 사람을 기다린다. 





영등포 코스


수도권에서 영등포는 손꼽히게 매력적인 지역. 수 만의 노동자들이 꾸준히 거쳐간 곳이고, 젊음이 모여있던 곳인 만큼 흥미로운 사건들이 자주 기록되었다. 고단한 노동의 현장이었지만 끈끈한 연대가 있던 곳이기도 하고, 지금은 극적인 변화의 스펙타클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뜨거웠던 해방 공간에서 영등포의 사건을 추억하는, 대립한 노선에 선 사람들의 각기 다른 기록을 읽은 어떤 겨울 밤에 이 달리기 루트를 그리고 달려보았다.

 시작은 구로역 앞 제일제당 공장이다. ‘김재철(金在哲)’이라는 많이 회자되지 않는 건축가의 흔적을 읽을 있는, 건물이 가진 압도적인 숭고함 앞에서 힘을 충전한 주자는 공장 주변 공구상가들을 따라 힘차게 달려나간다. 수 천명이 함께 일하던 문래역 주변 공장터까지 닿았다면 보이지 않는 철도인입선을 따라 현 영신로 변에 산재했던 여러 공장터를 스쳐 돌아온다. 경성방직이 있던 타임스퀘어와 대선제분을 사이를 지나면 철로를 넘는 구름다리를 건널 수 있다. 한때 웅장함을 뽐내던 맥주 공장터에 당당히 서있는 푸르지오 아파트를 지나 철로변 좁은 길로 뛰어나아가면 마침내 목표 지점인 소화기린맥주공장, 아니, 영등포 공원에서 약 7km 의 야간 달리기는 끝난다.   (김재민이)






<Invisible Factories> is a joint art project between Maebashi, Japan, and Kyungin, South Korea launched by Gemini Kim who works in South Korea and Arts Maebashi together. This project depicts the multitudinous changes in the world during the postwar era. Invisible Factories explores the question of history and society, machines and human bodies, and notions of life and labor vs. daily work, viewed through the prism of memories of factories that would be lost over time. Those who worked in factories during the period of the two World Wars were full of hope for the future despite the hardships they faced. Those bright, shiny dreams, all too easily abandoned amongst the societal upheaval of the modern era, can be preserved in our hearts through the act of running.

The modernization of Maebashi provided a massive boost to the local sericulture (silkworm farming) and filature (silk reeling) industries, and this had a ripple effect on industries such as machinery, woodwork, and food. However, some 60%–80% of the central district was destroyed in bombing raids in the last years of the Pacific War. Former factories in the center of town have been converted to shopping centers, restaurants, and apartments. But the legacy of the industry in Maebashi lives in the railway lines, waterways, and roads that define the shape of the city today. Here is the introduction of three different running routes that explore the factories and industrial history of Maebashi.



Legacy of the silk industry in Maebashi (3.1 km) 

Starting at the Keyaki Walk, this 3-km walking trail passes through JR Maebashi station and the central district. Wander through the former industrial precinct, once home to the filature (silk reeling) factories and other facilitie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ewar and postwar silk industry, before arriving at the Old Yasuda Bank Security Warehouse that was once used to store cocoons. Few buildings survived the intense bombing of Maebashi in the closing stages of the Second World War, but the stories are preserved in a number of monuments. One of these is the old Kozuizeki inlet gate, named after the silk producer Kozuisha. It can be found on the bank of the Hirose River, which was an important source of water to power the factories. The Keyaki Walk, the starting point for the trail, is the site of the former Maebashi First Factory of the Nakajima Aircraft Company, generally considered the finest aircraft manufacturer in the East at the time of the Second World War. This area was also home to the head office and factory of Daihatsu Auto Body (present-day Daihatsu Motor Kyushu). The Old Yasuda Bank Security Warehouse, where the trail ends, is one of only a handful of buildings to have survived the bombing raids in its original form, so it has a great deal to tell us about the silk industry in Maebashi. After circling through the central district, relax and unwind in the hot spring baths at Yuyu Tennen Onsen, just two minutes walk from JR Maebashi Station (north exit).



Chart the industrial history of Maebashi from east to west (7.7 km) 

This easy flat 8-kilometer trail heads east from JR Shin-Maebashi station, taking in the former Toshiba Electric Maebashi factory, which operated for 50 years up to 2010; the woodworking district, home to a number of workshops that started out supplying tools to the burgeoning silk industry; and the handsome brick walls of the Maebashi Jailhouse, unchanged since its foundation in 1889. It offers a fascinating insight into how the different precincts of factories, industrial facilities, and major retail outlets developed during the expansion of the city. The first half of the course crosses the distinctive Heisei Ohashi bridge over the Tone River, with sweeping views across to the Gunma prefectural government offices to the north and Mt. Akagi in the distance.
After the Keyaki Walk, the avenue of pines you can see on the central median strip marks the former site of an execution house back in the Edo period. A memorial tower still stands today on the side of the road. The huge pachinko parlor in front of it is where the impressively large Yoshida Design Steel factory once stood. The trail continues alongside the JR Ryomo railway line to the Higashi-Maebashi Industrial Park (otherwise known as “woodworking park”), which is close to the finish point at JR Maebashi-Oshima station. This area is home to many timber factories and facilities. When crossing the road, watch out for big trucks carrying goods and materials. Shichifuku-no-yu onsen (natural hot spring) is an easy ten-minute walk from JR Maebashi-Oshima station.  




Maebashi city center circuit (11.6 km) 

This 12-km circuit circles around the perimeter of the city center and include some hills. While Maebashi may seem flat at first glance, there are some gentle slopes as you head north towards Mt. Akagi, while erosion by the Tone River has lowered the riverbank area significantly. However, most of these are in the first half of the circuit. From JR Shin-Maebashi station head north through the industrial precinct on the west bank of the Tone river until you reach the riverside area. The road leading down to the river offers commanding views down to the Fuji Machinery factory complex on the opposite bank. This is probably the most impressive part of the circuit. From the riverside area walk up to the Owatari bridge and cross over the river, taking a moment to admire the majestic Mt. Akagi on your left. Proceed along Route 17, where the former National Silkworm Egg Manufacturing Facility once stood, along with a number of major silk factories. This takes you through to the Joto district where pockets of the original streetscape survive to this day. Today a park and a supermarket occupy the spots where the old silk factories and meat processing facilities once were. Return to JR Maebashi station via the Keyaki Walk, which is a part of all three walks. The Yuyu Tennen Onsen (hot spring) is a two-minute walk from JR Maebashi station.

(Toshihiro Fukunish & Masaki Murakami)



<보이지 않는 공장, Invisible Factories>는 세계 대전 후 다양한 세계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작품을 제작해 온 한국인 아티스트 김재민이와와 아츠 마에바시에 의해 일본 마에바시와 과 한국 경인지방에서 시작된 아트 프로젝트입니다. 사라져 가는 공장 풍경의 기억을 통해서 역사와 사회, 기계와 신체, 생활과 노동 등의 이슈를 생각해봅니다. 큰 2번의 세계대전을 사이에 끼고 있을 때에도 희망에 찬 미래를 바라보며 공장에서 일했던 사람들. 근대에서 현대로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잃어버리기 쉬운 과거의 눈부신 기억을, 달리기를 통해 마음 속에 담기를 제안해 봅니다.

마에바시는 근대화 속에서 양잠・제사업으로 크게 발전했고, 기계・목공・식품 등의 산업도 파생되어 다양한 공장이 늘어서 있었습니다. 그러나 태평양전쟁 말기 마에바시 공습으로 중심지의 60-80%가 소실되었습니다. 과거 거리의 중심에 있던 공장지대 땅은 지금은 쇼핑몰과 레스토랑, 주택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그 자취는 선로나 수로, 도로 남아 현재의 마에바시 거리의 모습을 만들고 있습니다. 마에바시의 공장과 역사를 둘러보는 3가지 코스를 소개합니다.



실크의 유산 코스 3.1km

게야키워크(Keyaki Walk,쇼핑몰)을 출발해서 JR 마에바시역을 통과해 중심 시가지를 빠져나가는 3km 정도의 코스. 전쟁 전과 후 마에바시의 실크 산업을 지탱해온 제사공장 단지와 관련 시설 터를 돌아본 뒤, 누에고치 집적소였던 구 야스다은행 담보창고지에 다다릅니다. 전쟁 말기의 마에바시 공습으로 인해 현존하는 건물은 적지만, 그 역사를 나타내는 기념물과 제사공장에 필수였던 물을 제공하던 히로세 강, 제사 회사의 명칭을 남기고 공장의 동력원이 되기도 했던 고스이 둑 등을 거쳐 뛰어갑니다. 출발점인 게야키 워크는 제2차 대전 중에는 동양에서 제일이라 불렸던 나카지마 비행기 주식회사의 마에바시 제1공장이었으며, 그 뒤에 구 다이하쓰 차체(현: 다이하쓰 규슈) 본사 공장이기도 했던 장소입니다. 또한 목표 지점인 구 야스다은행 담보창고는 마에바시 공습의 피해를 입었으면서도 당시의 모습을 지키고 있는 몇 안 되는 건조물 중 하나이며, 마에바시 생사(명주실)의 역사를 지금도 말해 주고 있습니다. 중심 시가지를 달린 뒤에는 JR 마에바시역 북쪽 출구에서 도보 2분 거리에 있는 ‘마에바시역 앞 천연온천 유유’에서 땀을 씻어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산업의 변화를 느껴보는 동서 일직선 코스 7.7km

JR신마에바시역을 기점으로 동쪽을 향해 달려 가는 평탄한 약 8km의 코스. 2010년까지 50년에 걸쳐 가동되어 온 도시바 기기 마에바시 공장터와 제사업 공구를 제공하며 발전한 목공산업을 한데 모은 목공단지, 그리고 메이지 22년(1889)의 준공 당시 모습을 담은 마에바시 형무소 벽돌담 등을 거쳐 나아갑니다. 마에바시의 거리가 확장되면서 다양한 산업과 시설, 대형 점포 등이 구획되어 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코스 전반에서는 교량 형태가 인상적인 헤이세이 대교에서 도네 강을 건너고, 북쪽으로 군마현청과 그 배후에 아카기 산을 바라보는 광대한 전망을 즐길 수 있습니다. 게야키 워크를 지나 중앙분리대에서 보이는 소나무 가로수는 에도시대(1603-1868)에는 처형장이 있었으며, 공양탑이 지금도 길 옆에 남아 있습니다. 그 앞의 커다란 파친코 가게는 요시다 철공소의 큰 공장이 있었던 곳입니다. JR 료모선을 따라 가면 목표 지점인 JR 마에바시 오시마역 부근의 히가시 마에바시 공업단지, 통칭 목공 단지라 불리는 구역에 다다릅니다. 목재 관련 공장과 시설이 모여 있어 상품과 자재를 옮기는 큰 트럭이 다니기 때문에 주의해서 달릴 필요가 있습니다. JR 마에바시 오시마역에서는 도보 10분 거리에 천연 온천, ‘시치후쿠노 유’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마에바시 시가지 일주 코스 11.6km

중심 시가지의 바깥쪽을 크게 일주하며 오르막과 내리막을 포함한 약 12km의 코스. 시가지는 얼핏 평탄한 것 같지만, 북쪽의 아카기 산을 향하는 길은 완만한 고갯길입니다. 또한 도네 강에 의한 침식으로 강가는 주위에서 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코스의 전반부에 그 고저차를 체험하게 됩니다. JR 신마에바시역을 출발하여 도네 강의 서쪽 공업 단지 속을 북상하여 도네 강 하천 부지로 나온다. 한번에 하천 부지로 내려가는 길에서 강 반대쪽의 후지 기계 공장 집단을 내려다보는 것은 이번 코스 중에서도 가장 다이나믹한 경관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번에 내려온 하천 부지에서 오와타리 다리로 달려 올라간 뒤, 그 다리에서 왼쪽으로 웅대한 아카기 산을 바라보면서 도네 강을 건넙니다. 국립 원잠종 제조소 터와 과거 큰 제사 공장이 늘어서 있던 국도 17호선 주변을 빠져나와 옛 거리가 조금 남아 있는 조토 지구에는 제사공장과 식육처리장 터를 볼 수 있는데 오늘날에는 공원과 슈퍼마켓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그리고 3가지 코스가 겹치는 게야키 워크를 경유하면 목표 지점인 JR 마에바시역이 나옵니다. 러닝 후에 도보 2분 거리에 ‘마에바시역 앞 천연온천 유유’를 이용해 몸을 씻을 수 있습니다.


(토시히로 후쿠니시 & 마사키 무라카미)



プロジェクトについて
《インビジブル・ファクトリーズ》は、戦後の様々な世界の変化に関心を持ち作品制作を行う韓国人アーティスト・キム・ジェミニとアーツ前橋によって、日本と韓国で開始されたアートプロジェクトです。失われていく工場の風景の記憶を通して、歴史と社会、機械と身体、生活と労働などの問題を考えようとしています。大きな2つの大戦を挟みながらも、希望に満ちた未来を見つめ工場で働いていた人たち。近代から現代への激しい社会変化の中で見失われがちな、そのかつての輝かしい記憶を、走ることを通じて心に留めようと提案します。

前橋の街は近代化の中で、養蚕・製糸業によって大きく発展し、機械・木工・食品などの産業も派生し、さまざまな工場が林立していました。しかし、太平洋戦争末期の前橋空襲によって中心地の60~80%が焼失しました。かつて街の中心にあった工場群の跡地はショッピングモールやレストラン、住宅などに変わりました。しかし、その名残は線路や水路、街道に息づき、現在の前橋のまちのかたちを作っています。前橋の工場と歴史をめぐる3つのコースを紹介します。



街なか絹遺産コース 3.1km

けやきウォークを出発し、JR前橋駅を通過して中心市街地を抜けていく3kmほどのコース。戦前戦後、前橋の絹産業を支えた製糸工場群や関連施設の跡地を巡り、繭の集積所であった旧安田銀行担保倉庫にたどり着く。戦争末期の前橋空襲のため現存する建物は少ないが、その歴史を示すモニュメントや製糸工場に必須であった水を供給していた広瀬川の河畔、製糸会社の名称を残し、工場の動力源にもなっていた交水堰などを辿る。出発点のけやきウォークは、第二次大戦中は東洋第一と謳われた中島飛行機株式会社の前橋第一工場であり、その後旧ダイハツ車体(現:ダイハツ九州)本社工場でもあった場所だ。またゴールの旧安田銀行担保倉庫は、前橋空襲の被害を受けながらも当時の姿を保つ数少ない建造物の一つであり、前橋の生糸の歴史を今も語り続けている。中心市街地ランのあとは、JR前橋駅北口から徒歩2分の「まえばし駅前天然温泉ゆ〜ゆ」で汗を流すのがおすすめ。


 

産業の移り変わりを感じる東西一直線コース 7.7km

JR新前橋駅を起点に東に向かって走っていく平坦な約8kmのコース。2010年まで50年にわたり稼働してきた東芝機器前橋工場跡や製糸業の道具から発展した木工産業を集積した木工団地、また1889年の竣工当時の姿をとどめる前橋刑務所の煉瓦塀などを辿る。前橋の街が拡張され、さまざまな産業や施設、大型店舗などが区画されていく姿を見ることができる。コース前半では、橋梁の形が印象的な平成大橋で利根川を渡り、北に群馬県庁とその背後に赤城山を望める広大な展望が楽しめる。けやきウォークを過ぎ、中央分離帯に見える松並木は江戸時代には処刑場があったばしょであり、供養塔が今も道の傍に残る。その前の大きなパチンコ店は、吉田鉄工所の大きな工場があったところだ。JR両毛線に沿って進むと、ゴールであるJR前橋大島駅近辺の東前橋工業団地、通称木工団地と呼ばれる区域にたどり着く。木材関連の工場や施設が集積し、商品や資材を運ぶ大きなトラックが行き交うので、注意して走って欲しい。JR前橋大島駅からは徒歩10分で天然温泉「七福の湯」がある。




前橋市街地一周コース 11.6km

中心市街地の外側を大きく一周するアップダウンを含んだ約12kmのコース。市街地は一見平坦なようだが、北の赤城山に向けては緩い登り坂、また利根川による侵食で川岸は周囲からかなり低い位置にあり、このコースの前半にその高低差を体験することになる。JR新前橋駅をスタートして利根川の西側・工業団地の中を北上し、利根川の河川敷に出る。一気に河川敷へ降りる道から川の対岸の富士機械の工場群を見下ろすのは、今回のコースの中でも一番ダイナミックな景観と言えるだろう。一気に降りた河川敷から、大渡橋へと駆け上がり、その橋から左手に雄大な赤城山を一望しながら利根川を渡る。国立原蚕種製造所跡やかつて大きな製糸工場が林立していた国道17号周辺を抜け、古い街並みが少し残る城東地区は、製糸工場や食肉処理場の跡地が現在は公園やスーパーになっている。そして3つのコースが交わるけやきウォークを経由してJR前橋駅がゴールとなる。徒歩2分で「まえばし駅前天然温泉ゆーゆ」が利用できる。



(福西敏宏 & 村上雅紀 )







寄稿



永登浦、最初の江南 




 永登浦、最初の江南  永登浦(YEONG/DEUNG/PO)はソウル市の西南部に位置し、厳密にはソウル市を構成する25の区の一つとしての「永登浦区」を指す。しかし、韓国人が「永登浦」と言った時、この地名は「永登浦区」より広い、ソウル市の西南部一帯を漠然と指す場合が多い。  

朝鮮時代に存在した始興郡(SIHEUNGGUN)の最北端に位置する閑散たる農村だった「永登浦」は、帝国主義日本による韓半島の植民地化を前後して、まず交通の要地として浮上した。日本が開港させた仁川(INCHEON)と漢陽(HANYANG)とを結ぶ京仁鉄道、そして、韓半島の中で最も日本に近い港である釜山(BUSAN)と漢陽とを結ぶ京釜鉄道とが永登浦で結節す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  

二つの幹線鉄道が交差することによって、農村から交通の要地へと様変わりした永登浦は、やがて、韓半島における最初の工業地帯として発達するようになる。私の手元にある大木春三著『趣味の朝鮮の旅』(朝鮮印刷株式会社、1927)には、韓半島が日本の一部になって10年余りを過ぎた時点での永登浦の様子が次のように綴られている。「永登浦:此(こ)の駅から京仁線が岐(わか)れ、附近一帯は工業地として近年急速の進歩を来(きた)し、朝鮮皮革会社、煉瓦(れんが)工場、大日本麦酒(ビール)工場等がある」(54・55頁)。この本に添付されている「京城遊覧案内図」には、広い意味での永登浦の東部の地名は見えるものの、永登浦駅や駅前の工場地帯はまだ描かれていない。1920年代の永登浦がまだ始興郡の一部だったために、京城観光の対象にはならなかったのであろう。  

交通の要地であり、また工業地として発達しつつあった永登浦の未来には二つの選択肢が置かれていた。一つは「永登浦市」として独立する道、もう一つは植民地化によって漢陽から名前を変えた京城に編入される道であった。地域の政治家らの間で激しい論戦が展開された末に、永登浦は1936年に京城府に編入する。1936~37年の間に製作されたチラシ「京城觀光のしおり」には「キリンビール入口」「永登浦出張所」「永登浦駅前」「サッポロビール前」などのバス停が見える。列車とバスによって永登浦が京城府の一部となっていく様子がうかがえる。  

すでに工業化の道を歩んでいた永登浦は、京城府に編入された以降、植民地朝鮮の随一の工業地帯として飛躍的に発展するようになる。1939年に京城府と仁川とを一つの都市に統合する「京仁一如」計画が提案されると、永登浦は現在の仁川市の東北部に当たる富平(BUPYEONG)に形成しつつあった軍需産業地帯と一緒に「京仁工業地帯」と呼ばれるようになる。  

工業化に伴って市街地の整備も急がれ、同じ1939年には「市街地計画永登浦土地区画整理計画」が発表された。この計画書に含まれている平面図には、永登浦に散在する工場や背後住宅地帯、諸工場と永登浦駅とを結ぶ引込線が緻密に配置されている様子が描かれている。狭義の「永登浦区」の市街地の形はこの計画によって完成し、現在に至る。  

この頃より、漢陽=京城の旧市街地に対して永登浦は「江南(こうなん、GANGNAM)」と呼ばれるようになった。そう、PSYが「江南スタイル」を歌って世界的に知名度を上げた「江南」は、元々ここ永登浦の別名だったのである。江南=永登浦に対して、現在の江南は「永東(YEONGDONG)」と呼ばれた。「永登浦」の東という意味である。最初の江南だった永登浦に比べると、現在の江南は何もない、ただ「永登浦の東」としか呼ぶようがない農村地帯だったのである。1990年に刊行された『永登浦区誌』の冒頭には、江南とは元々永登浦を指す別名だったのに、今となってはその別名を奪われたことが悔しい、と書かれている。  

最初の江南だった永登浦は、今なお交通の要地として、また、政治の中心である国会議事堂の所在地として、旧漢陽、現在の江南と共にソウル市の三核としての地位を維持している。しかし、工業地帯としての永登浦の面影は日に日に薄れている。工場は地方や国外に移転し、その跡地には高級マンションが再建築されつつある。工業地帯は20世紀前期の永登浦に忽然と顕れ、いつの間にか消えてしまった。多くのソウル市民は永登浦の工業地帯からの脱皮を残念に思わない。むしろ喜んでいると言ってもいい。  

このような現状を残念に思った私は、永登浦を隈なく歩きながら工業地帯の跡を探してきた。その過程で、前述した富平の工業地帯や金浦空港などを含む富平盆地の出身としての自意識を抱いたKIM=GEMINI氏に出会った。氏と一緒に永登浦や仁川などの工場を探訪した縁で、愛する永登浦に関する小文を書く次第である。コロナ禍が終息した後にソウルを訪れるであろう皆さんには、現在の江南のみでなく、最初の江南である永登浦にも足を運んでいただけると嬉しい。 金時徳(文献学者・踏査家)  




영등포, 최초의 강남  




영등포는 서울시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엄밀하게는 서울시를 구성하는 25개 구 가운데 하나인 “영등포구”를 가리킨다. 그러나 한국 시민이 “영등포”라고 말할 때에는“영등포구”보다 넓은 서울시 서남부 일대를 막연히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조선시대에 존재한 시흥군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 한적한 농촌이던 “영등포”는, 제국주의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지화한 시기를 전후하여 우선 교통의 요지로서 부상한다. 일본이 개항시킨 인천과 한양을 연결하는 경인철도, 그리고 한반도에서 가장 일본과 가까운 항구인 부산과 한양을 연결하는 경부철도가 영등포에서 만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두 개의 간선 철도가 교차하게 된 영등포는 농촌에서 교통의 요지로 변모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한반도 최초의 공업지대로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내가 소장한 오키 슌조(大木春三) 저 『취미의 조선여행(趣味の朝鮮の旅)』 (朝鮮印刷株式会社, 1927)에는, 한반도가 일본의 일부가 된지 십여년이 지난 시점의 영등포가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영등포 : 이 역에서 경인선이 갈라지며, 이 부근 일대는 공업지로서 근년 들어 급속한 진보를 이루어 조선피혁회사, 벽돌공장, 대일본맥주 공장 등이 있다(永登浦:此の駅から京仁線が岐れ、附近一帯は工業地として近年急速の進歩を来し、朝鮮皮革会社、煉瓦工場、大日本麦酒工場等がある)」 (54•55쪽) 이 책에 첨부되어 있는 「경성 유람 안내도(京城遊覧案内図)」에는 넓은 의미의 영등포의 동부 지명은 보이지만, 영등포역이나 역 앞의 공장지대는 아직 그려져 있지 않다. 1920년대의 영등포는 아직 시흥군의 일부였기 때문에, 경성 관광의 대상으로 간주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교통의 요지이자 공업지대로서 발달하고 있던 영등포의 미래에는 두 가지 선택지가 놓여 있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영등포시”로서 독립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한양에서 이름을 바꾼 경성에 편입되는 것이었다. 지역의 정치가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오간 끝에, 영등포는 1936년에 경성부에 편입되었다. 1936~37년 사이에 제작된 관광안내 전단지 「경성 관광 안내(京城觀光のしおり)」에는 「기린 맥주 입구(キリンビール入口)」 「영등포 출장소(永登浦出張所)」 「영등포역앞(永登浦駅前)」 「삿포로 맥주 앞(サッポロビール前)」과 같은 버스 정류장이 보인다.  열차와 버스에 의해 영등포가 경성부의 일부로서 연결되어 있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공업화로의 길을 걷고 있던 영등포는, 경성부에 편입된 뒤로 식민지 조선 유수의 공업지대로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39년에 경성부와 인천을 하나의 도시로 통합하는 “경인일여(京仁一如)” 계획이 제안되자, 영등포는 부평에 형성되고 있던 군수산업지대와 함께 “경인공업지대”라고 불리게 된다. 

공업화에 따라 시가지 정비가 시급한 과제가 되자, 마찬가지로 1939년에는 「시가지계획 영등포 토지구획정리계획(市街地計画永登浦土地区画整理計画)」이 발표되었다. 이 계획서에 포함되어 있는 평면도에는 영등포 곳곳에 자리한 공장과 배후 주거지, 공장과 영등포역을 잇는 인입선이 치밀하게 배치된 모습이 그려져 있다. 협의의 영등포구 시가지는 이 계획에 의해 형태를 갖추어 오늘에 이른다. 

이 무렵부터 한양=경성의 구 시가지에 대하여 영등포는 “강남”이라 불리게 된다. 가수 싸이가 “강남 스타일”을 불러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강남”은 원래 영등포의 별명이었다. 강남=영등포에 대하여 현재의 강남은 “영동”이라 불렸다.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뜻이다. 첫 강남인 영등포와 비교하면, 현재의 강남은 아무 것도 없는, 그저 “영등포 동쪽”이라고밖에는 달리 부를 수가 없는 농촌이었다. 1990년에 간행된 『영등포구지(永登浦區誌)』 첫머리에는, 강남은 원래 영등포를 가리키는 별명이었는데 이제는 그 별명을 빼앗겨서 분하다고 적혀 있다. 


첫 강남이었던 영등포는 오늘날에도 교통의 요지로서, 그리고 정치의 중심인 국회의사당이 있는 지역으로서, 옛 한양 및 현재의 강남과 함께 서울시의 삼핵(三核)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나 공업지대로서의 영등포의 모습은 점차 옅어지고 있다. 공장은 지방이나 외국으로 이전하고, 그 빈터는 고층아파트단지로 재건축되고 있다. 공업지대는 20세기 전기에 영등포에 홀연히 나타났다가는 어느새인가 사라져버렸다. 대부분의 서울 시민은 영등포가 공업지대라는 성격을 탈피하는 것을 아쉬워하지 않는다. 아니, 오히려 기뻐하고 있다고 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유감스럽게 생각한 나는 영등포 구석구석을 걸으며 공업지대의 흔적을 찾아왔다. 그 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부평 공업지대 및 김포공항 등을 포함하는 부평분지 출신이라는 자의식을 지닌 김재민이 작가를 만났다. 김재민이 작가와 함께 영등포•인천 등의 공장을 탐방한 인연으로, 사랑하는 영등포에 대한 짧은 글을 쓰게 되었다. 코로나19의 유행이 끝난 뒤에 서울을 찾으실 여러분께서, 현재의 강남 뿐 아니라 최초의 강남인 영등포도 들러주신다면 기쁘겠다. 




김시덕 (문헌학자, 답사가)


Yeongdeungpo, which was once the first Gangnam area, continues to function today as a pivotal transportation hub and a location of political significance due to its proximity to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Alongside the old capital of Hanyang and the present-day Gangnam district, Yeongdeungpo serves as one of Seoul's three key centers. However, the industrial character of Yeongdeungpo has gradually faded. Factories have relocated to other regions or even abroad, and these vacant spaces are being transformed into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The industrial zone that abruptly emerged in Yeongdeungpo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has now vanished without a trace. Most citizens of Seoul are not regretful of Yeongdeungpo shedding its industrial identity; in fact, they are quite content about it.


Frowning upon this situation, I have taken to wandering through every nook and cranny of Yeongdeungpo in search of remnants of its industrial past. In this pursuit, I encountered Kim Jaemin, a writer hailing from the Bupyeong area, which encompasses the previously mentioned Bupyeong industrial zone and Gimpo Airport. Through his connection with the writer, born from their shared exploration of factories in Yeongdeungpo and Incheon, I have written a brief piece about my beloved Yeongdeungpo. After the conclusion of the COVID-19 pandemic, when those of you who wish to visit Seoul venture out, I would be delighted if you not only explore the present-day Gangnam but also make a stop at Yeongdeungpo, the original Gangnam.


Shi-deok Kim



(Above two leaflet images are courtesy of Shiduck Kim)



Curated by Jun Igarashi and Tomo Ikegami


Researcher Toshihiro Fukunishi and Masaki Murakami (Maebashi) , Shiduck Kim and Yeonji Lee (Kyungin)
Music by Miyuki Fukunishi (Maebashi) ,Nadoe (Kyungin)
Designer Ayumu Iwamura (Maebashi) Nuri Cho (Kyungin)
Film by Kenichi Okayasu (Maebashi) , Jaesung Kim (Kyungin)
Performer Ai Onoda ,Haruna Uda ,Tomo Ikegami & Yuichi Tokuno 
Advisor Keum Hyun Han and  Soyoung Chung